
도수방
도예로하는 수학공부방
○ 도자기분야에 있어서 성형방법
① 모델링(Modeling) ② 빚어만들기 핀칭(Pinching) 성형 ③ 코일링(Coiling) 성형
④ 점토판 성형 ⑤ 석고틀(Slip Casting) 성형 ⑥ 물레(Jiggering) 성형
⑦ 틀 성형 : 기계성형이라고도 부름
1. 모델링이란
예술적인 면이 많이 강조되는 성형기법
대표적인 방법으로 테라코타(Terra cotta)가 있다.
현대 도자기의 경우, 대형 야외조각 등의 설치작품이나 추상형의 작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
2. 핀칭(Pinching)성형법이란
'핀치(Pinch)'는 꼬집는다는 뜻으로 점토덩어리를 꼬집듯이 하여 성형하는 기법
간단하면서도 기본이 되는 기법으로 도자기를 만드는데 사용했던 최초의 방법 중 하나
○ 성형방법
① 우선 소요되는 크기의 점토를 준비해서 공모양의 둥근형태를 만들고
② 이것을 한손에 들고 다른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가운데를 누르면서 돌린다.
③ 만들고자 하는 두께까지 기벽이 부서지지 않게 수분을 주어가면서 만든다.
3. 코일링(Coiling)성형법
점토로 코일을 만들거나 로프형태로 만들어 밑판부터 원하는 형태로 쌓아올리는 기법
○ 성형방법
① 우선 균일한 두께의 코일을 만들고 이것을 밑판으로부터 쌓아올린 후
② 코일과 코일이 닿은 곳을 닦아내는 듯한 동작으로 결합시킴
③ 매끄러운 겉모양을 위하여 도구를 사용하여 정리함
④ 일부러 다듬질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⑤ 재래의 독을 짓는 방법도 이 기법에 속함
○ 코일링성형의 문제점
① 작품의 크기에 비하여 코일의 두께가 너무 두껍거나 얇은 경우
② 서로 붙이기에 너무 무르거나 딱딱한 점토를 사용한 경우
③ 코일을 너무 빠른 속도로 붙여나가서 아래쪽 점토판이 주저앉거나 두꺼워진 경우
5. 흙판 성형법이란
○ 밀방망이로 만든 얇은 점토판을 말거나 접는다거나 또는 잘라 서로 결합하여 성형
사각형, 둥근형 등 여러 형태의 점토판을 서로 붙이거나 구부려 도자기의 형태를
성형하는 방법
○ 빛깔이 다른 점토를 함께 반죽함으로서, 연리문이 있는 점토판을 만들 수 있음
○ 흙판 성형방법
① 흙판을 만들려면 잘 반죽된 커다란 점토덩어리를 철사로 저며서 만듬
② 흙판을 밀 때에는 캔바스(Canvas)위에서나 작업대 위에서 만듬
③ 사각형의 흙판을 만들려면 점토를 대각선으로 밀고, 일정한 두께로 만들기 위해서는 두 세 차례 민 다음, 뒤집어 밀면 됨
④ 천이나 나무, 마른꽃 등 을 흙판 위에 놓고 밀면 재미있는 표면질감을 얻을 수 있다.
⑤ 상업적, 공업적으로는 도판기(Slab roller)를 사용
이 기계는 에칭(etching)에 사용하는 프레스의 구조와 같이 두 장의 캔버스 사이에 놓여진 점토를 밀어누르기 위한 두 개의 롤러로 구성됨
○ 흙판 성형시의 유의점
① 틀위에 점토판을 얹어 성형하는 경우에는 점토판에 습기가 있어야 하며,
② 수직적 형태를 만드는 경우에는 서로 지탱할 수 있게 적당히 건조되어야 함
③ 건조시에는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결합하는 부분을 긁어 요철을 만들고
이장을 발라 결합하는 경우도 있음
④ 모서리나 결합된 부분의 안쪽에 습기있는 점토로 코일을 만들어 보강해 주는 것이 좋음
6. 물레성형법이란
물레 위에 점토를 올려 놓고 물레의 회전을 이용하여 둥근 형태의 도자기를 얻는 성형기법
: 초보자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통한 연습이 계속적으로 필요
물레성형의 순서 ▶ 중심잡기 → 점토 끌어올리기 → 원통형 만들기 → 기물성형 → 윗부분 끊어내기 → 기물 끊어내기
○ 물레의 종류
: 물레의 종류에는 전기물레, 손물레, 발물레 등이 있다.
물레성형시 유의해야 할 점
: 물레가 멈춰있을 때는 흙이나 기물을 만지지 말 것
: 기물을 거의 완성해 가면 물레의 속도를 줄일 것
: 손에 물을 충분히 칠하여 흙과 마찰이 없도록 할 것
물레성형의 방법
① 중심잡기방법
: 중심잡기는 물레성형의 기본으로 물레 회전판의 중심부분을 물로 약간 적셔 줌.
: 물레 중심에 흙을 던지듯이 놓은 후, 손바닥으로 물레의 중앙으로 모음.
: 물을 전체에 칠하고 약간 앞쪽을 두손으로 감싸듯이 함
: 위쪽으로 받치듯이 들어올리며 힘을 위쪽으로 가하여 점토를 끌어올림.
: 흙을 비스듬히 기울여 윈심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내림. 위의 과정을 두세 번 반복
: 위의 끝 부분은 항상 중심이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줌.
② 기물 성형하기
: 양손으로 흙을 잡고 중앙에 홈을 낸 다음 옆으로 넓혀 줌.
: 안쪽에서 조개비를 비스듬히 대주고 밖에서 가볍게 받침.
: 안쪽에서 밖으로 힘을 가하여 넓혀준다. 이때에 왼쪽손으로 같이 받쳐줌
: 전의 모양이 고르지 않을 때에는 실이나 밑가새로 잘라냄.
: 깊이나 입지름의 크기를 정금대를 사용하여 재어 봄.
: 전대를 사용하여 고르게 기물을 잡아줌.
③ 성형 뒤의 건조
: 성형이 끝나면 굽깎기를 위하여 건조시킴
: 손으로 만져보아 기물의 표면에 물기가 묻어나지 않을 정도로 건조
: 손으로 만져보아 형태를 지탱할 수 있을 정도로 건조된 상태
: 지나치게 건조하면 힘이 들고 굽깎는 도중에 파손되기 쉬우며,
너무 무르면 굽칼로 고르게 깎을 수 없고 기물이 주저앉게 됨.
④ 굽깎기
: 갓을 물레의 중앙에 놓고 젖은 점토로 고정시킴.
: 갓의 가장자리를 붓으로 물을 고르게 적셔줌.
: 기물을 가볍게 두드리면서 갓의 중앙에 올려놓음.
: 굽의 윗편을 편편하게 깎음.
: 굽과 그릇의 높이를 정함.
: 손으로 중앙을 누르면서 여분의 흙을 대강 깎음.
: 중심에서부터 굽의 안쪽을 깎음.
: 기물의 두께가 균일하도록 외부형태를 다듬음.
7. 석고틀 성형법(Slip Casting)이란
: 석고의 뛰어난 흡습성을 이용한 것
: 슬립 (Slip:점토, 물, 해교제를 혼합한 것:흙물)을 석고틀에 주입시킨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슬립을 다시 부어냄으로써 석고틀 내면에 붙어 있는 기물을 얻는 기법
: 석고틀 성형은 같은 모양이나 복잡한 모양의 도자기를 단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있다.
: 석고형을 만들 때 석고와 물의 비율은
: 견고함이 전제되는 기물원형의 석고일 경우 → 1:1
: 주입성형의 거푸집으로 사용할 경우 → 1:1.2
석고틀 제작방법
① 제형기의 이용
- 컵, 주발, 접시 등과 같이 원형인 경우 원형석고를 전기물레등을 사용하여 깎음
- 외형석고를 만듬 - 외형 석고틀의 거푸집을 만듬
② 기타 기물의 이용
- 우드락과 같은 재료로 원하는 석고원형의 형태를 만듬
- 그 원형에 맞추어 외형 석고틀을 만듬
석고틀 제작시 유의할 점
① 석고가루는 고루 뿌려서 침전되게 함
② 석고는 기포가 최대한 생기지 않도록 주의
③ 석고액이 새지 않도록 G클립이나, 함석, 아크릴판,비닐장판, 흙 따위로 단단하게 고정 ⑤ 실제 형태에 가까우면 사포로 흐르는 물에 문질러 표면을 매끄럽게 함.
⑥ 이형제로는 칼리비누가 좋으며, 세제나 일반비누, 왁스도 가능
⑦ 결합부분이 많으면 면마다 요철을 주어 결합이 용이하게 함
석고작업에 필요한 보조재료
① 이형제: 칼리비누, 왁스, 파라핀, 주방세제 등을 이용
② 해교제: 유기 또는 무기 해교제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규산소다나 탄산소다를 많이 사용
적당한 해교상태는 손으로 저었을 때 손가락 사이로 물갈퀴가 생기면서 주르륵 흘러내릴 정도
8. 틀 성형법(기계성형)이란
: 기물의 외부모양을 가지는 석고형에 점토를 넣고 석고형을 회전시키면서 기물
의 내부모양을 가지는 형틀로 점토를 석고형에 밀착시키면서 기물을 만드는 기법.
: 현대 생활자기의 대부분인 식기가 기계화된 대량생산법인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짐
